서울 주한외국인과 함께하는 통일준비 아카데미
(사)남북통일운동국민연합 서울시회는 6월 30일 오후 2시, 서울 은평구 서울기록원 컨퍼런스룸에서 ‘주한외국인과 함께하는 통일준비 아카데미’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평화대사협의회, 산수원애국회, 평화대사 및 평화애원 등 시민사회 지도자들과 주한 외국인, 탈북민, 청년, 서울 시민 등
60여 명이 참석해 평화통일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나누는 뜻깊은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는 이상호 한국중견기업학회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박영배 중앙회장은 인사말에서 “통일은 특정 집단의 과제가 아니라 모두의 미래이자 다음 세대의 삶의 터전과 직결된 국가적 사명”이라며, 이번 아카데미가 시민들의 삶 속에서 통일을 가까이 느끼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옥윤호 상임고문은 “통일은 남북의 문제가 아닌 전 인류의 보편적 과제이며, 주한 외국인과의 공감 형성이 중요하다”고 환영사를 전했다. 김주섭 서울시평화대사협의회 회장은 “통일은 다양한 문화와 세대 간 이해와 조화를 바탕으로 실현될 수 있다”며 시민들의 주체적 참여를 독려했다. 이어 송광석 남북통일정책연구원 원장은 “북한의 정치 현실을 정확히 인식하고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통일 해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축사에서 강조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학영 박사(북한학)는 ‘북한 체제 특성과 세습과정 분석’을 주제로, 북한의 정치 구조와 권력 세습의 특성, 그리고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큰 관심을 모았다. 패널 토론에서는 탈북 작가 림일 씨가 북한 생활 경험을 증언하며 “통일은 외적 조건보다 인식 전환에서 시작된다”고 강조했다. 청년 대표 장지혜 씨는 청년들의 통일 인식 변화와 여성의 참여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주한외국인 대표 노다 고우지는 “대한민국 인구의
5%를 차지하는 외국인이 중간자적 역할을 하며 통일운동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자유 질의응답이 이어지며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시민과 외국인 참가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이번 아카데미는 서울시회가 추진하는 평화·통일 인식 확산 운동의 일환으로, 국내외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소통하고 공감대를 넓히는 모범적 사례로 평가됐다. 서울시회는 앞으로도 시민사회와 연계한 평화·통일 교육을 강화하며 의식 함양과 실천적 참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